Extra7 크롬 브라우저 탭 그룹 저장하기 크롬 브라우저 탭 그룹 저장하기 가끔 좀 있다 자세히 읽어봐야지 하고 읽지 않고 열어두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를 위해서 사용하는 탭 그룹 저장 1. 주소창에 chrome://flags/ 입력 2. Tab Groups Save and Sync를 찾아서 Enabled 저장 3. 크롬 재시작 4. 여러 탭을 열어 두고 탭에서 우클릭 > 새 그룹에 탭 추가 5. 그룹 이름 및 색 지정, 그룹 저장 클릭 6. 드래그로 그룹 탭 범위 추가 7. 같은 창 혹은 다른 크롬 창에서 그룹 저장 확인 8. 클릭 시 추가했던 탭 화면들로 이동 2024. 3. 15. [Windows] 윈도우 서비스 등록 (window service) 윈도우 서비스 등록 (window service) 윈도우 서비스 등록 sc create [service name] binpath= [exe file location] --ex) sc create TestService binpath= "D:\Programs\test.exe" binpath= 뒤에 공백 1칸 필수 윈도우 서비스 삭제 sc delete [service name] -- sc delete TestService 윈도우 서비스 실행 sc start [service name] -- ex) sc start TestService 윈도우 서비스 중지 sc stop [service name] -- ex) sc stop TestService 2021. 8. 18. [Extra] Reflow와 Repaint 1. Reflow와 Repaint란 웹페이지의 렌더링 과정중 발생하는 것으로 부하가 높음. UI가 느려지는 원인이 됨.특히 Refolw부하가 더 높기 때문에 최대한 피하는 편이 좋음 2. Reflow와 Repaint -Reflow 크기와 위치에 맞게 브라우져에 셋팅되는 과정 -Repaint시각적인 요소가 셋팅되는 과정배경색 -> 배경이미지 -> 테두리 -> 자식 -> 아웃라인 3. Reflow와 Repaint 사례 Reflow 사례 Repaint 사례 Render Tree (Layout)에 영향을 주는 행동을 했을 경우 발생 영향을 받은 모든 노드의 수치를 다시 계산하여 렌더트리 재생성 Render Tree (Layout)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변경했을 경우 발생 1) 윈도우 리사이징(너비 높이 변경.. 2018. 3. 20. [Extra] Rendering 1. Rendering(렌더링)이란 - 화면에 컨텐츠를 그리는 과정 2. 브라우져 별 렌더링 엔진 - 크롬, 사파리 : Webkit 엔진- 파이어 폭스 : Gecko 엔진 3. 렌더링 순서브라우져마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됨(출처:http://www.phpied.com/rendering-repaint-reflowrelayout-restyle/)1. DOM 트리 구축을 위한 HTML을 파싱 2. Content Tree에서 태그를 DOM노드로 변환, 외부 CSS파일과 함께 포함된 스타일 요소들도 파싱 (style struct 생성) 3. 1,2번으로 Render Tree 생성 4. Render Tree를 새롭게 재정립함 (Reflow!!) 5. Render Tree 재배치 (Layout) (각 .. 2018. 3. 19. [Extra] 순차탐색 이진탐색 순차탐색(Sequential search) 선형 탐색(Linear search)이라고도함전제조건 : 없음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여도됨)방법 : 찾을 숫자를 처음부터 나올때 까지 비교함 ex) 1-20중 숫자 고르기 (19) source)int j = [찾을 숫자] int[] arrList; for(int i = 0; i < arrList.length; i++){if (arrList[i] == j){return i;}} 빅오 표기법 : O(N) 이진탐색 (Binary search) 전제조건 : 정렬된 데이터방법 : 정렬된 데이터 집합을 이분화하면서 탐색하는 방법 (관계 없는 1/2을 제외시킴) ex) 1-20중 숫자 고르기 (19) 빅오 표기법 : O(log N) * 반씩 잘라서 찾아나가는것 "이진탐색"*.. 2018. 3. 16. [Extra] 32비트와 64비트 운영체제 차이 32비트와 64비트 운영체제 차이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32비트 64비트 메모리 최대 인식용량 4GB(윈도우용 메모리 약 3.5GB사용)(윈도우 서버 에디션->최대 64GB까지 인식 가능한 툴(PAE) 제공) 4GB이상의 RAM도 인식 (최대 16EB(엑사바이트)) 다룰 수 있는 데이터 2^32 데이터를 다룰 수 있음 2^64 데이터를 다룰 수 있음 기타 데이터의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데이터의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름 2018. 3. 12. [Extra] Big-O(빅오 표기법) Big-O (빅오 표기법) - 프로그램의 시간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 알고리즘의 성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 빅오 적용법 1. 입력값을 확인하여 무엇을 N 으로 놓을지 정함2. 알고리즘에서 수행할 연산 횟수를 N의 식으로 표현3. 차수가 가장 높은 N만 남김4. 모든 상수인수를 없앰(ex. O(n^2/2) -> O(n^2)) 빅오 성능순서 0. O(1) (성능순서에 제외)- 상수 실행 시간- 항상 일정한 시간에 완료 되지만 현실적으로 거의 없는 알고리즘 1. O(log N)- 로그 알고리즘- 실행시간이 입력크기의 로그에 비해 늘어남- 일반적으로 좋은 효율의 알고리즘 2. O(N)- 선형 알고리즘- 실행시간이 입력크기에 비례하여 늘어남 3. O(N log N)- 초선형 알고리즘- 처리 데이터의 양이 늘 수.. 2018. 3. 11. 이전 1 다음